반응형

2025/05/15 3

IDF룸 완전 정복 – 네트워크 인프라의 숨겨진 중추

네트워크 설비를 직접 다뤄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IDF(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이라는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현장을 경험하지 않은 일반인에게 IDF는 마치 서버실처럼 낯선 단어다. 지금 당신이 있는 건물, 학교, 병원, 회사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이 가능한 이유는,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묵묵히 신호를 분배하고 있는 IDF룸 덕분이다. 이 글에서는 IDF룸이 정확히 무엇을 하는 곳인지, 왜 있어야만 하는지, 그리고 실무자들은 어떻게 설계하고 관리하는지를 실제 예시와 함께 차근차근 풀어본다. 건물 네트워크의 뼈대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알고 싶다면 지금부터 함께 따라와 보자. 1. IDF란 무엇인가? IDF는 Intermediate Distri..

JSON이 뭐야? – 데이터를 주고받는 가장 단순하고 강력한 언어

1. JSON, 왜 이렇게 많이 들리는 걸까? 코딩을 시작하기만하면 'JSON'이라는 단어를 쉽게 마주하게 된다. 웹 개발, 앱 개발, AI, 데이터 처리, 서버 응답, API… 거의 모든 분야에서 JSON은 핵심 키워드처럼 등장한다. 그렇다면 JSON은 도대체 뭐길래 그렇게 많은 기술자들이 사용하는 걸까? 오늘 이 글에서는 가장 기초부터 실제 예제까지, 그리고 왜 JSON이 그렇게 많이 쓰이는지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아주 친절하게 설명해보려 한다.결론부터 말하면, JSON은 사람도 읽기 쉽고, 기계도 처리하기 쉬운 데이터 표현 언어다. 그리고 놀랍게도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웹과 앱의 거의 모든 데이터는 JSON을 거쳐 이동한다고 봐도 무방하다.그럼 지금부터, JSON의 정체와 ..

Flask 입문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 웹 서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부터 알아보자

1. Flask란 무엇인가? Flask는 파이썬으로 만든 초경량 웹 프레임워크다. 쉽게 말하면, 웹 서버를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도구라고 보면 된다.예를 들어,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5000에 접속하면 Flask는 그 요청을 받아서, 준비해 둔 내용을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이런 흐름을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from flask import Flaskapp = Flask(__name__)@app.route("/")def hello(): return "Hello EVE!" 이 간단한 코드로, 우리는 나만의 웹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Flask는 마치 ‘카페 사장’처럼, 누가 어떤 주문을 하러 왔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응답’을 돌려주는 구조라고 생각하면 쉽..

반응형